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83)
    • Contents (149)
      • Interview | 인터뷰 (5)
      • Research | 리서치 (27)
      • Reconceptualizing | 새로운 관점 (43)
      • Living together with [ ] | [ ]와 함께 (12)
      • pose problems | 문제제기 (22)
      • Group | 그룹 (3)
      • Vegan Food | 비건 음식 (15)
      • Fiction | 픽션 (5)
      • Movie | 영화 (17)
    • Series (33)
      • 장애 ---- 동물 (8)
      • 정치 ---- 동물 (7)
      • 동물의 몸으로 경계 넘나들기 (6)
      • 품종견의 진실 (5)
      • 유기동물 (5)
      • 길고양이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ontents

  • 바퀴벌레

    2023.12.30 by SOURCEof

  • 탄생이 “외상”이 아니라 “축복”이길

    2023.12.15 by SOURCEof

  • 지구를 위한 마지막 글

    2023.12.07 by SOURCEof

  • 비건의 유럽 여행법: ‘관용’과 ‘환대’가 너울대는 비건 세상 속으로

    2023.11.24 by SOURCEof

  • 인간동물은 왜 비인간동물에게 구원을 요구하는가

    2023.11.03 by SOURCEof

  • 비건 채식 여행의 성지, 대만에 다녀왔다

    2023.10.21 by SOURCEof

  • 지구의 입장에서, 인간이라는 생명체

    2023.10.13 by SOURCEof

  • 서로에게 위로가 필요한 군인과 군견을 위하여

    2023.10.08 by SOURCEof

바퀴벌레

1화 그 많은 벌레들은 다 어디에 있나 2화 그 많은 벌레들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3화 벌레의 권리는 없나요? 나는 벌레 중에서도 유독 바퀴벌레와의 에피소드가 많은 편이다. 오랫동안 살아온 동네와 다닌 학교가 바퀴벌레가 많기로 유명한 지역들이었다. 나는 하필 시력도 좋아서 벌레의 존재와 그의 작은 움직임도 너무 잘 알아차리는 것이 문제였다. 남들에 비해 나는 바퀴벌레를 정말 많이 마주쳤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바퀴벌레를 볼 일이 별로 없다는 것, 또 누군가는 태어나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였다. 유전자의 영향인지 학습의 영향인지는 모르겠지만, 바퀴벌레를 그렇게나 많이 봤어도 나는 여전히 바퀴벌레와 마음의 거리가 멀다. 존재를 알아차리는 순간은 항상 가슴이 철렁하고 무섭다. 어쩌다 보..

Contents/Reconceptualizing | 새로운 관점 2023. 12. 30. 19:48

탄생이 “외상”이 아니라 “축복”이길

지금 우리 집에는 진도믹스 강아지 두 마리가 와 있다. 이들은 원래 마을 지인 분이 데려온 1살 강아지들로 원래는 비닐하우스 안에 묶여 살고 있다. 숨이와 눈이는 사람들을 볼 때마다 반가워 꼬리를 프로펠러마냥 흔들고 통통 뛰어오르지만 대부분의 시간 그들은 혼자 있다. 애정도 듬뿍 못 받고, 산책도 못 하고 있다. 예방 접종이나 심장 사상충 예방과 같은 제대로 된 돌봄도 받지 못하는 상황에 속상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도 보호자가 중성화를 진행하고 있었는데, 숨이만 수술된 사이 눈이가 임신해버렸다. 시골 마을에 풀려 돌아다니는 어느 수컷 개와 교미가 된 것이겠지. 배가 점점 부풀고 있는 지금, 곧 출산할 것 같은 눈이에게 비닐하우스는 영 적합한 출산 환경이 아닐 것 같아 일단 우리 집으로 데려 왔다...

Contents/Living together with [ ] | [ ]와 함께 2023. 12. 15. 17:31

지구를 위한 마지막 글

아쉽게도 2023년 12월을 마지막으로 솔스는 끝을 맞이하게 되었다. 2021년 8월, 솔스의 일원으로 나의 첫 번째 글이 브런치 스토리에 업로드되었고, 그 이후부터 한 달에 한 번씩 꼬박꼬박 썼던 지구와 동물권에 대한 글이 솔스에서는 마지막으로 만나게 되었다. 언젠가 다시 나의 글을 어딘가에서 찾을 수 있으실 거라 믿는다. 솔스의 브런치 스토리에 업로드하는 나의 마지막 글은 펭귄이 나오는 애니메이션 '해피피트'와 함께한다. 해피피트는 2006년에 1편, 2012년에 2편이 개봉한 펭귄이 나오는 애니메이션이다. 1편에서는 사랑하는 페펭귄을 위하여 구애의 노래를 해야 하는 음치 펭귄 but 댄스킹왕짱 멈블이 주인공이며, 2편에서는 댄스킹왕짱 멈블의 아들이지만 몸치대마왕 에릭이 주인공이다. 노래를 못 하는 ..

Contents/Movie | 영화 2023. 12. 7. 19:00

비건의 유럽 여행법: ‘관용’과 ‘환대’가 너울대는 비건 세상 속으로

코로나19가 탄생하기 전 2019년 여름, 더 넓고 깊은 비건 세상을 만나기 위해 여행을 떠났다. 여행지는 비건 선진국들이 모여 있는 유럽으로 정해졌다. 첫 한 달 간은 북유럽과 맞닿아있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시작으로 핀란드, 에스토니아, 스웨덴, 덴마크까지 북유럽을 두루두루 탐방하고 왔으며, 그 이후에도 네덜란드, 독일,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페인, 포루투갈, 프랑스 등 많은 국가들을 여행하고 왔다. 이렇게 많은 곳을 여행할 수 있었던 데에는 비건 네트워크의 어마어마한 도움이 있었다. 가진 돈은 적었지만 비건들에게 받은 사랑은 엄청났다. 본 글에서는 비건 네트워크를 통한 여행을 다루고자 한다. 숙박비 지출 0원에 달성한 유럽 여행이 가능했던 데에는 우리가 소중히 해야 할 가치가 있었다. 바로 비..

Contents/Group | 그룹 2023. 11. 24. 18:05

인간동물은 왜 비인간동물에게 구원을 요구하는가

2023년 10월 3일, 당나귀 EO라는 제목의 영화가 정식개봉하였다. 영화 당나귀 EO는 한국에서는 2022년 여러 영화제에서 관객에게 선보인 적은 있으나 정식으로 영화관에서 개봉이 되는 것은 2023년 10월이 처음이다. 당나귀 EO는 1966년 프랑스에서 개봉한 당나귀 발타자르를 리메이크한 영화라고 볼 수 있다. EO와 발타자르 모두 당나귀의 이름이다. 영화 당나귀 발타자르를 볼 수 있는 곳을 찾지 못하여 어떤 내용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었다. 다만, 영화 당나귀 발타자르는 표드르 도스도옙스키의 소설 '백치'를 모티브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영화 당나귀 EO는 영화 당나귀 발타자르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따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화로 보여진 비인간동물, 당나귀 EO는 어떤 삶을 살..

Contents/Movie | 영화 2023. 11. 3. 16:49

비건 채식 여행의 성지, 대만에 다녀왔다

올해 두 차례나 대만에 다녀왔다. 2월과 9월에 다녀왔으며 각각 2주씩이나 되는 여행이었다. 대만에 무엇이 있기에, 한 해에 2번, 2주씩이나 갈 정도로 누군가가 묻는다면, 나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련다. “대만은 비건 채식 여행의 성지입니다!” 실제로 PETA ASIA에서는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를 아시아에서 가장 비건 친화적인 도시 열 곳 중 1위로 선정한 바 있다. 무려 1위라니, 비건 여행자로서 대만에 애정을 안 가질 수가 없다! 2010년 대만 ITIS(Industry&Technology Intelligence Service) 보고서에 따르면 대만의 채식 인구는 약 200만 명이라고 한다. 전체 인구의 10%에 달하며, 종교적인 이유 등으로 비정기적으로 채식하는 인구까지 포함하면 대만의 채식 인구수..

Contents/Vegan Food | 비건 음식 2023. 10. 21. 12:23

지구의 입장에서, 인간이라는 생명체

지난 8월 해남에서 지질학 수업을 들었다. 해남에 있는 변성암 지대, 퇴적암 지대에 대한 설명을 들었고 다음 날 공룡박물관으로 향했다. 겹겹이 쌓아 올려진 지층에 있는 공룡의 발자국, 익룡의 발자국, 갑각류의 발자국들을 보았다. 중생대에 살아갔던 생명체들의 흔적을 눈앞에서 본 것이다. 중생대는 크게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나뉘며, 대략 2억 5,3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전까지의 시기로, 지질 시대의 약 4%를 차지하고 있다. 내가 지층에 쌓인다면, 하나의 얇은 층에 존재할 것이다. 때로는 나의 삶이 참 길게 느껴지지만, 지구와 우주의 입장에서는 찰나에 불과하다는 것을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 지금 일어나는 이 복잡하고 버거운 모든 일들은 지구의 입장에서 아주 얇은 퇴적층에 존재하게 될..

Contents/Reconceptualizing | 새로운 관점 2023. 10. 13. 16:11

서로에게 위로가 필요한 군인과 군견을 위하여

PTSD로 힘들어하는 참전 군인과 참전 군견이 출연한 영화 도그 리뷰 상당히 뜨겁고 뜨거웠던 여름의 어느 날. PTSD 증상으로 서비스독을 입양한 미군 커플이 그 개를 학대했다는 기사를 SNS에서 얼핏 보았다. 너무 많은 기사가 쏟아지는 사회에서 SNS에서 쉽게 지나간 기사를 찾기란 쉽지 않았지만 PTSD로 인해 개를 입양한 군인에 대한 자료를 많이 찾을 수 있었다. 보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알고 있는 PTSD가 처음으로 역사에 기록된 사유는 바로 전쟁이었다. 역사적으로 PTSD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그리스에서 시작된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학자 헤로도토스(Herodotos, 기원전 484년경~425년경)는 마라톤 전투에 참전한 한 군인이 전쟁이 끝난 이후 눈앞에서 사람이 죽을 때마다 눈이 머는 증..

Contents/Movie | 영화 2023. 10. 8. 09:4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9
다음
MAGAZINE
SOURCE © Source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