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83)
    • Contents (149)
      • Interview | 인터뷰 (5)
      • Research | 리서치 (27)
      • Reconceptualizing | 새로운 관점 (43)
      • Living together with [ ] | [ ]와 함께 (12)
      • pose problems | 문제제기 (22)
      • Group | 그룹 (3)
      • Vegan Food | 비건 음식 (15)
      • Fiction | 픽션 (5)
      • Movie | 영화 (17)
    • Series (33)
      • 장애 ---- 동물 (8)
      • 정치 ---- 동물 (7)
      • 동물의 몸으로 경계 넘나들기 (6)
      • 품종견의 진실 (5)
      • 유기동물 (5)
      • 길고양이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ontents

  • 길고양이의 겨울 나기

    2022.12.31 by SOURCEof

  • 추위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 함께 살기

    2022.12.31 by SOURCEof

  • 비건 1일차, 고구마 샌드위치로 시작해봐랏

    2022.12.31 by SOURCEof

  • 반려동물과 겨울 우울증

    2022.12.31 by SOURCEof

  • 개와 고양이가 느끼는 추위

    2022.12.31 by SOURCEof

  • 비인간 동물의 건강을 위하여

    2022.12.31 by SOURCEof

  • 나이 든 널 사랑하는 3가지 이유

    2022.12.31 by SOURCEof

  • 정신건강과 반려동물

    2022.12.31 by SOURCEof

길고양이의 겨울 나기

겨울 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는가? 새하얀 눈, 따듯한 난로, 군고구마 등 다양한 것이 상상된다. 그렇다면 왜 계절은 변화할까? 그 이유는 약 45억 년 전 화성 크기의 운석과 지구가 충돌했기 때문이다. 운석의 충돌로 인해 가해진 충격은 지구의 자전축을 기울게 했다. 이 기울어짐에 의해서 지구에는 계절이 생겨난다. 계절은 이렇듯 생명이 탄생하기 훨씬 이전에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지구에 존재했던 모든 생명체는 계절을 경험했다. 그렇기에 현재 지구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생명체는 계절에 따라 행동 양식과 신체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철새와 고래는 계절에 따라 수 천 킬로미터를 이동하고 곰과 개구리는 겨울잠을 잔다. 인간의 경우에는 어떨까? 따듯한 공간을 만들거나 찾아 그곳에서 살아남는다. 이와 비슷한 행동양식을..

Contents/Reconceptualizing | 새로운 관점 2022. 12. 31. 20:17

추위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 함께 살기

다큐멘터리에 종종 에스키모가 나올 때가 있다. 북극곰이나 표범의 가죽을 옷으로 입고 있다고 해도 영하50도에서 살아가는 모습은 혀를 내두르게 한다. 하지만 지금 살아있는 인류는 모두 플라이스토세(빙하기)에서 생존한 개체이다. 그렇다고 ‘그럼 나도 한파에서 살아남을 수 있겠다’라며 내복없이 겨울을 나는 걸 추천하지는 않는다. 에스키모들은 유전자 변이를 통해 열을 내는 갈색지방이 온 몸에 분포한다고 한다. 빙하기 이후 1만 년이라는 시간이 흘렀고 극지방에서 떨어져 사는 이들에게 그 유전자가 남아있는 거 같지는 않다. 그리고 추위에 잘 견디는 유전적 특징 하나로 인류가 극지방에서 살 수 있었던 건 아니다. 또 다른 필수 조건이 하나 있다. 그건 썰매개와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인류가 동계올림픽을 시작한지도 1..

Contents/Movie | 영화 2022. 12. 31. 19:38

비건 1일차, 고구마 샌드위치로 시작해봐랏

10월 초에 비가 상당히 많이 오더니 날씨가 점점 더 추워지는 계절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양력에서는 10월은 가을, 11월은 늦가을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10월부터 조금씩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였다. 2021년의 경우 10월 8일에는 24절기 중 17번째 절기로 태양이 황경(황도는 태양계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만든 황도좌표계(ecliptic coordinate system)에서 사용하는 좌표값 가운데 하나로서, 춘분점에서 황도면을 따라 동쪽으로 측정한 좌표값이다. 고대 중국과 동양에서는 황경의 개념과 유사한 24절기를 사용하여 계절을 표현하였다.) 195도에 이르러 공기가 차츰 선선해짐에 따라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를 뜻하는 절기 ‘한로’가 11월 22일은 첫눈이 내리는 ..

Contents/Vegan Food | 비건 음식 2022. 12. 31. 19:34

반려동물과 겨울 우울증

계절이 변화하며 감정이 변화하는 것을 느껴보았는가? 참 이상하다. 날씨와 감정은 무슨 상관일까? 이는 우리 몸의 호르몬이 ‘빛'과 관련이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블루라이트가 수면에 방해가 된다는 것도 블루'라이트'가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빛은 이처럼 우리 몸의 호르몬을 조절한다. 생체리듬을 만들어 낮에 생활하고 밤에 푹 쉴 수 있도록 진화한 덕분이다. 그렇다면 빛과 계절은 어떤 상관이 있을까? 겨울철에는 일조량이 줄어든다.(사실상 일조량이 줄어들어 겨울이 된다) 빛이 줄어들면 멜라토닌이 더 많이 분비되어 우리 몸이 쉴 수 있도록 무기력해지고 졸리게 된다. 그래서 일조량이 줄어드면 왠지 모르게 무기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행복감과 감정에 활력을 주는 세..

Contents/Research | 리서치 2022. 12. 31. 19:27

개와 고양이가 느끼는 추위

“나는 추위를 덜 타” “나는 더위를 잘 안타”와 같은 말을 해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말을 할 때 조금 고민스러웠다. ‘내가 다른 사람이 되어 보지 않았는데 내가 추위를 덜 타는지 어떻게 알까?’ ‘내가 추위를 그냥 잘 참는 것 아닐까?’와 같은 생각들을 했다. 이 처럼 추위의 정도를 정확하게 표현하기란 같은 언어를 쓰는 인간 동물 사이에서도 어렵다. 그렇기에 반려동물이 얼마나 추워하고 있는지 알기란 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다. 먼저 개와 고양이가 어느 지역에서 어떤 기후에 적응해 살아가던 동물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동물들은 살고 있던 지역의 기후에 따라 진화했기에 해당 기후에서만 주로 살아남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에 살고 있던 새가 한국의 숲에서 겨울을 날 수 없는 것처럼 말이..

Contents/Research | 리서치 2022. 12. 31. 19:24

비인간 동물의 건강을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국가로 지정해둔 바운더리 안에서 살아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하여 전 국민에게 건강검진을 ‘강제’하고 있다. 보통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안내하는 건강검진은 무료이며, 지역가입자, 직장피부양자, 직장가입자 중 사무직 종사자의 경우에는 2년에 1회 건강검진은 강제하며 안내를 해준다. 체중이나 몸무게, 청력검사, 시력검사 등 기초적인 검사를 포함하여 성별, 연령별에 따라서 암 검사 등 다양한 검사가 추가되기도 한다. 최소한 한국에서 살고 있는 한국 국적 인간 동물의 경우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건강검진을 강제하며 관리를 해주는데, 인간 동물과 함께 사는 비인간 동물의 건강관리는 어떻게 해주고 있는가? 비인간 동물을 반려동물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함께 사는 당신! 당신의 반려동물의 건강관리를..

Contents/Research | 리서치 2022. 12. 31. 19:21

나이 든 널 사랑하는 3가지 이유

당신이 반려동물에게 가장 많이 했던 말은 무엇인가요? “안 돼”, “귀여워”, “예뻐”, “먹어”, “뱉어”, “하지 마”, “앉아”, “뭘 그렇게 봐?”, “오늘 하루는 어땠어?”, “씻자”, “밥 먹자”, “산책 가자”, “자러 가자”, “씩씩하네”, “맛있어?”, “잘 먹네”, “고마워”, “사랑해” … 이름을 제외한다면 보호자는 반려동물에게 하루에도 수많은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하나를 꼽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이 오늘 하루 건강한 것만으로 고마운 나이가 되었다면 대부분은 이런 이야기를 가장 많이 하지 않을까 싶다. “아프면 안 돼”, “괜찮을 거야”, “내년에도 같이 오자” 건강할 때는 몰랐다. 건강하지 않은 상태가 어떤 건지. 사실 어렸을 때는 건강하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조차 잘 알..

Contents/Movie | 영화 2022. 12. 31. 19:18

정신건강과 반려동물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것과 건강의 연관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는가? 솔스의 글 [우리 집 강아지가 탐험할 수 있는 시간]을 통해서 반려견과 함께 함으로써 산책을 하게 되고 그로써 신체가 건강해지며 사회가 건강해진다는 이야기를 나눴다. 오늘은 어쩌면 가장 중요한 건강인 정신건강과 반려동물의 연관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된 내용을 찾으며 재밌는 논문 두 편을 찾았고, 그 논문을 바탕으로 오늘의 글을 써보고자 한다. 첫 번째 논문은 2012년에 발표된 [ Psychosocial and psychophysiological effects of human-animal interactions: the possible role of oxytocin] [동물-인간 상호작용의 정신과 정신생리학적 효과: 옥시토신의..

Contents/Research | 리서치 2022. 12. 31. 19:0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다음
MAGAZINE
SOURCE © Source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