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83)
    • Contents (149)
      • Interview | 인터뷰 (5)
      • Research | 리서치 (27)
      • Reconceptualizing | 새로운 관점 (43)
      • Living together with [ ] | [ ]와 함께 (12)
      • pose problems | 문제제기 (22)
      • Group | 그룹 (3)
      • Vegan Food | 비건 음식 (15)
      • Fiction | 픽션 (5)
      • Movie | 영화 (17)
    • Series (33)
      • 장애 ---- 동물 (8)
      • 정치 ---- 동물 (7)
      • 동물의 몸으로 경계 넘나들기 (6)
      • 품종견의 진실 (5)
      • 유기동물 (5)
      • 길고양이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ontents

  • 닭들이 좋아하는 봄나물

    2023.01.01 by SOURCEof

  • 번식의 계절 봄

    2023.01.01 by SOURCEof

  • 빌 클린턴을 위한 궁중 떡볶이 대령이오!

    2022.12.31 by SOURCEof

  • 호랑이도 무서워하는 곶감을 맛있게 먹기

    2022.12.31 by SOURCEof

  • 2022년에 당신은 어떤 것을 소망하나요?

    2022.12.31 by SOURCEof

  • 다가오는 새해를 맞이하는 사라져가는 호랑이의 이야기

    2022.12.31 by SOURCEof

  • 호랑이는 사라졌지만, 우리가 할 일은 남았다.

    2022.12.31 by SOURCEof

  • 동물의 생태를 담은 띠

    2022.12.31 by SOURCEof

닭들이 좋아하는 봄나물

봄이 왔다. 외풍이 점령한 시골집에서의 겨울은 참으로 추웠다. 기름보일러, 전기히터와 온수매트에 의존하며 겨우겨우 추위를 삭였다. 우리의 타협점은 실내온도 13~15도. 이 정도만 해도 어디야? 가끔 도시의 아파트 혹은 빌라에 사는 지인의 집에 방문하면 놀랍기 그지없었다. 얇은 내복만 입고 있어도 괜찮은.. 따뜻한.. 큰 경제적 부담 없이도 따뜻하게 겨울을 지낼 수 있었다. 놀라워. 도시의 삶이란 이렇게 편한 것이었어. 그런데도 난 여전히 시골의 생활이 마음에 든다. 도시의 아파트는 따뜻했지만 건조하여 아토피가 올라왔고, 높은 천장과 환한 전등 아래서 수돗물로 샤워를 하면 왜인지 제대로 씻은 느낌이 나지 않았다. 물도 안심하고 먹지 못했다. 미세먼지 탓인지 낮에 눈꼽이 끼거나, 콧 속에 검은 먼지가 끼었..

Contents/Research | 리서치 2023. 1. 1. 09:28

번식의 계절 봄

아직 따뜻하지만은 않지만 봄이 찾아왔다. 새싹이 나고 있고 벌거벗었던 나무들은 다시 옷을 입기 시작한다. 봄에는 먹을 것이 다시 풍부해지고 날씨도 따뜻해진다. 그렇기에 많은 동물은 봄에 번식한다. 그래서 그런지 봄은 ‘탄생’과 ‘새로운 시작’의 의미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3월에 새 학기도 시작하기 때문에 3월을 ‘새로운 시작’으로서 우리는 경험해 왔다. 많은 동물들은 ‘발정기’에만 임신을 할 수 있다. 반면 사람의 경우에는 1년 내내 주로 임신을 할 수 있다. 일년내 두 번 이상 계속해서 후대를 번식하는 동물을 생태학적 용어로 ‘연중번식동물(continuous breeders)’이라고 하며 반려동물인 개와 고양이처럼 발정기가 있는 동물을 ‘계절번식 동물(Seasonal breeder..

Contents/Research | 리서치 2023. 1. 1. 09:25

빌 클린턴을 위한 궁중 떡볶이 대령이오!

오는 2022년 3월 9일은 한국의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이다. 대통령과 비건 음식에 대한 글을 쓰려고 여러 자료를 찾아보았지만 당췌 한국에서 비건을 하거나 비건에 대해 우호적이거나 비건 지향적인 삶을 사는 대통령을 찾지 못하였다. 웃기게도 한국의 대통령과 비건을 함께 검색하면 제일 많이 검색되는 게시물은 대통령이 미국의 대북 특별대표인 스티브 비건 국무부 부장관 지명자를 만나서 회담을 나누었다는 내용이다. 대통령과 비건을 지속적으로 찾다가 빌 클린턴 미국 전 대통령(미국 제42대 대통령, 재임기간 1993.1.20~2001.1.20.)이 대통령 퇴임 후에 비건으로 식습관을 전향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빌 클린턴은 원래 햄버거를 좋아하고 육식을 즐기는 사람이었는데, 대통령 퇴임 후인 2004년 심장질..

Contents/Vegan Food | 비건 음식 2022. 12. 31. 21:22

호랑이도 무서워하는 곶감을 맛있게 먹기

2022년 임인년이 되었다. 2022년 임인년은 육십간지 중 39번째로 임(壬)이 흑색, 인(寅)은 호랑이를 의미하여 '검은 호랑이의 해'가 된다고 한다. 검은 호랑이라니! 블랙팬서 2탄이라도 개봉을 할 모양인가보다. - 이 문장을 쓰고 검색을 해보니 북미(미국과 캐나다)에서 2022년 11월에 ‘블랙팬서 2’가 개봉할 예정이라고 한다. 호랑이는 비건을 하지 않는데, 호랑이와 관련된 비건 음식을 찾아보려니 엄청난 고민을 하며 1달을 보내다 ‘호랑이와 곶감’이라는 구전 설화를 기억해버렸다. ‘호랑이와 곶감’이라는 이야기를 맨 처음 만든 사람이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이 자리를 빌어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호랑이와 곶감’이라는 구전 설화가 없었다면 나는 이 원고를 쓰고 있지 못했을 것이다. ‘호랑이와 ..

Contents/Vegan Food | 비건 음식 2022. 12. 31. 21:15

2022년에 당신은 어떤 것을 소망하나요?

1월이 되면 왠지 모르겠지만 어떤 것을 소망하게 되고 작년에 있던 일을 생각하게 된다. 2021년을 후회할 수도 있고 자랑스럽게 여기길 수도 있다. 그리고 2022년이 불안할 수도 있고 기대될 수도 있다. 어떤 감정이 들든지 온전히 받아들이는 1월이 되길 기원한다. 이번에는 동물과 관련된 법률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우리 사회에서 하루빨리 통과되어야 하는 동물 관련 법은 무엇이 있을까? 동물 쇼 2021년까지 동물 쇼는 이어졌다. 동물 쇼는 아이러니하게도 아름다운 섬 제주에 집중되어 있다. 아름다운 바다와 숲에 가려져 돌고래와 코끼리가 쇼를 하고 있다. 돌고래의 하루평균 이동 거리는 160km이다. 또한 돌고래는 수백 수천 킬로미터까지 퍼져나갈 수 있는 초음파로 소통하는데 작은 수족관 안에서는 초..

Contents/pose problems | 문제제기 2022. 12. 31. 21:12

다가오는 새해를 맞이하는 사라져가는 호랑이의 이야기

2022년은 임인년(壬寅年)으로 검은 호랑이의 해다. 호랑이는 십이지의 세 번째 동물로 사악한 잡귀를 물리치는 영물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두려워하면서도 우러러보았던 이 동물은 단군신화부터 1988년 서울 올림픽까지 한반도의 역사와 함께 했다.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은 옛날이야기의 시작을 알리는 압운과 다름없다. 더군다나 ‘호랑이와 곶감’, ‘해와 별이 된 오누이와 호랑이’처럼 호랑이가 주요 등장인물로 나오는 설화도 많다. 하지만 호랑이는 이제 전 세계에서 5천여 마리 정도 밖에 남지 않은 멸종위기 1급(CITES 야생동물 보호 협약)으로 전설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한국호랑이와 같은 혈통의 아무르호랑이는 극동 러시아의 연해주 지역에 극소수만 생존해 있는 걸로 알려져 있다. 호랑이가 십이지의 용처럼 될 ..

Contents/Movie | 영화 2022. 12. 31. 21:09

호랑이는 사라졌지만, 우리가 할 일은 남았다.

올해는 검은 호랑이의 해다. 호랑이띠가 태어나는 것을 축복하며 호랑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호랑이는 우리나라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포식자가 사라지면 사슴이나 고라니 같은 초식동물이 계속 늘어나 너무 많은 양의 풀들이 사라진다. 많은 양의 풀들이 사라지면 초식동물도 먹을 게 없어져 생태계는 무너지고 대부분의 생명체가 위험에 처하게 된다. 대형 동물을 잡아먹는 대부분의 포식자는 우리나라에서 자취를 감췄다. 물론 담비나 삵 등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표범과 호랑이가 남아있을 때에 비해서 초식동물의 개체 수를 잘 조절하지는 못한다. 고라니와 멧돼지가 농작물을 먹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들을 혐오하고 ‘유해 동물’이라고 부르지만, 호랑이가 우리나라 산에 살아있었다면..

Contents/Reconceptualizing | 새로운 관점 2022. 12. 31. 21:05

동물의 생태를 담은 띠

2022년은 검은색을 뜻하는 임과 호랑이를 뜻하는 인이 합쳐진 임인년이다. 그래서 2022년을 검은 호랑이의 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는 이렇게 해마다 상징하는 동물이 있다. 당연시되는 우리의 문화이지만 이 문화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는 잘 모른다. 오늘은 12개의 ‘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12개의 띠에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辛), 유(酉), 술(戌), 해(亥)가 있고 ‘십이지’라고 부른다. 십이지의 발생 시점을 중국의 하 왕조까지 추론하고 있다(천진기, 2011). 십이지의 의미는 중국의 은(殷) 대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십이지를 방위와 시간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한 것은 한(漢)대의 중기로 추정된다. 그리고 십이지의 ..

Contents/Reconceptualizing | 새로운 관점 2022. 12. 31. 20:4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9
다음
MAGAZINE
SOURCE © Source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